울산남구치과, 자기 치아 살리기 최후의 방법, 의도적재식술

 

안녕하세요. 울산남구치과 바른마음365치과
대표원장 박완규, 김도희입니다.

 

오늘은 자연치아 살리기 방법 중 하나인
‘의도적재식술’에 대해서 이야기해보려 합니다.

 

이전에 올린 포스팅에서 ‘근관치료(신경치료)’와
‘치근단절제술’에 대해 설명드렸는데요.

 

‘치근단절제술’과 마찬가지로 치아를 살리기
위한 최후의 방법 중 하나가 바로
‘의도적재식술’이라 할 수 있습니다.

 

예전에 말씀드렸다시피 ‘근관치료’는 여러 가지
이유로 인하여 그 성공률이 약 70~90%
정도라 말하는데요.

 

‘근관치료’ 후에도 계속적인 증상이 남아있다면
시도해 볼 수 있는 마지막 방법이 바로
‘치근단절제술’ 혹은 ‘의도적재식술’입니다.

 

‘근관치료’ 실패의 원인에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을 수 있습니다.

1. 해부학적으로 복잡한 신경관계를
가진 경우(부근관, C형근관 등)

2. 심하게 휘어있는 치아 뿌리

3. 치아 뿌리 염증이 심한 경우

4. 치아에 생긴 금(crack)의 정도가 심한 경우
‘치근단절제술’은 치아 뿌리 쪽으로의 접근이
가능할 때 시도할 수 있기 때문에,
예를 들어 치아 뿌리쪽 턱뼈의
두께가 매우 두껍다거나,

 

기구가 접근을 할 수 없는 안쪽 치아인
경우에는 ‘치근단절제술’이 힘들 수 있습니다.

 

이러한 경우 중 치아의 뿌리가 휜 정도가 심하지
않아 발치 시 손상 없이 잘 뽑을 수 있다면
‘의도적재식술’을 고려해 볼 수 있습니다.

 

‘의도적재식술’은 의사가 직접 환부를
보면서 치료를 하기 때문에

일반적인 ‘근관치료’보다 더 확실하게
병소제거가 가능합니다.

 

임플란트 기술이 많이 발전했다고 하지만
본인 치아보다 더 좋을 수는 없기에

자연치를 살릴 수 있는 마지막 시도로
고려해 본다면 충분한 메리트가
있는 치료라 할 수 있습니다.

 

다만 ‘의도적재식술’을 시도할 수 있는
상태인 치아의 경우에만
제한적으로 행해지는 부분이 이
치료의 한계점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조건을 살펴보자면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을 수 있습니다.

울산남구치과,

1. 의도적재식술을 행하는 치아 및 주변
잇몸의 상태가 양호해야 합니다.

 

2. 치아 뿌리의 형태와 위치에 따라 시술
자체가 불가능한 치아가 있을 수 있습니다.

 

3. 치아 발치 후 상태 확인을 통해 시술이
불가능한 경우가 생길 수 있습니다.

 

4. 시술 후 치아의 고정이 일어나는 약 4~6주
정도는 불편감이 존재할 수 있고, 해당 치아에
힘이 가해지지 않도록 주의해야 합니다.

 

의도적재식술’의 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위의 과정에서 빠진 부분이 하나 있는데요.

 

병든 치아 뿌리 쪽 병소 부분을 제거한 후
노출된 신경관 부분을 생체친화적 재료(MTA)로
뿌리 방향에서 충전하는 것입니다.

 

이러한 과정은 치아를 뽑는 순간부터 재식립 때까지
15분 내에 이루어져야 성공확률이 높기 때문에

빠르고 정확한 손기술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참고로 저희 울산남구치과 바른마음365치과의 원장들은
‘의도적재식술’ 후 실패한 경우가 아직까지
없다는 점을 말씀드립니다.

 

지금까지 ‘의도적재식술’에 대해 알아보았고,

울산남구치과에서는 다음번에도
환자분들께서 궁금해하실만한
내용을 정리해서 찾아뵙도록 하겠습니다.

이상 울산남구치과 바른마음365치과 박완규,
김도희 원장이었습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네이버 지도 바로 가기]